본문 바로가기
경제적 자유

배당락일이란 무슨 뜻일까?

by kimmj619 2023. 6. 2.

안녕하세요! 오늘은 주식 투자자들에게 가장 중요한 배당금 받는 날짜인 배당락일에 대해 알아볼 건데요. 배당락일이란 주식 시장에서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하는 날짜인데요.  주식을 가지고 있다면 배당금을 받을 수 있는 자격을 결정하는 기준일이에요.

 

배당락일은 기업이 배당금과 배당일을 결정하고 공시한 후 일정 기간이 지난 후에 들어오는데요. 배당락일 이전에 해당 주식을 보유하고 있어야만 배당금을 받을 자격이 생기는 거예요. 그럼 배당락일 이후에 주식을 구매하게 되면, 해당 분기의 배당금을 받을 수 없게 되겠죠? 따라서 배당금을 받기 위해서는 주식을 일정기간 이상 보유해야 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반응형

배당금은 기업과 성과에 따라 결정되는데요, 일부 투자자들은 배당락일에 주가가 상승한 후 배당금을 받고 주식을 바로 매도 하는 경우도 있는데요. 이런 패턴을 파악해서 자기만에 투자 전략을 세우기도 할 수 있겠죠. 하지만 이 부분은 제 영역 밖인 거 같아서 잘 모르겠네요. 직장인으로 매번 매 주식매다 배당락일 확인해 가며 팔았다 샀다 하기는 정말 힘들더라고요.

 

현대자동차와 현대자동차우 차이점

현대자동차와 현대자동차우 차이점 현대자동차 (현대차) 주식 코드: 005380 주식 종류: 보통주 최근 주식 시장에서 많은 투자자들이 삼성전자만큼은 아니지만 그래도 현자자동차 역시 일반인들이

reviewfree.tistory.com

참고로, 예를들면 삼성전자 2023년 2분기 배당락일은 6월 29일인데요. 그럼 적어도 27일에는 삼성전자 주식을 매수해서 가지고 있어야 배당금을 받을 수 있어요. 배당락일 -2일 전에는 주식을 보유하고 있어야만 됩니다. 그리고 배당락일까지 보유하고 있었다면 6월 30일 날 주식을 매도하더라도 2분기 배당금을 받을 수 있어요. 이런 전략을 가지고 샀다 팔았다 하는 분들도 계시던데, 다시 말하지만 직장인은 저런 거 따라 하기가 힘들더라고요..

 

배당락일 날자는 기업 홈페이지에서 확인이 가능하고, 귀찮으면 그냥 네이버나 다음에 검색해도 사람들이 공유해놓은 글들이 많으니 확인하시면 됩니다. 그래도 사람들이 공유해 놓은 배당락일보다는 조금 더 정확하게 기업 홈페이지에서 확인하시기를 추천드려요 ㅎㅎ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