월배당 vs 분기배당
주식 배당금은 종류도 여러가지가 있습니다. 대표적으로 한국 배당금은 보통 연배당이 대부분입니다.
하지만 그중에서도 정기적인 현금흐름을 만들고 싶기에 분기배당과 월배당으로 구성을 했습니다
한국에서는 분기배당을 해주는 기업 역시 미국보다 찾기가 어렵습니다. 그래도 최근들어 분기 배당을 해주는 기업이 많이 늘었고, 월 배당을 해주는 ETF들도 많이 생겨나고 있는 추세입니다.
월배당 (Monthly Dividend):
월배당은 매월 일정한 주기로 배당금을 지급하는 형태입니다.
일반적으로 소규모 회사나 부동산 투자회사(REITs) 등에서 많이 볼 수 있습니다.
월배당은 투자자에게 정기적인 현금 흐름을 제공하고, 일상 생활 경비나 월급 수령처럼 예측 가능한 수익을 제공합니다.
그러나 월배당 주식들은 높은 수익률을 보장하지는 않으며, 투자한 회사의 성과와 배당 정책에 따라 큰 변동이 있을 수 있습니다.
그리고 추가로 제가 가장 좋아하는 종목중 하나는 아직 생긴지 얼마 되지않은 “SOL 미국배당다우존스”ETF입니다. 국내시장에 상륙한지 얼마 되지 않았고 한국시장에서 거래가 되지만 미국 다우존스 지수를 추종하는 ETF입니다.
분기배당 (Quarterly Dividend):
분기배당은 매 분기(3개월)마다 배당금을 지급하는 형태입니다.
대부분의 상장 회사에서 분기별로 재무 상황과 이익을 평가한 후 배당금을 결정하며, 배당 정책에 따라 지급합니다.
분기배당은 주주들에게 정기적인 현금 흐름을 제공하는 동시에 회사의 이익 상황에 따라 배당금을 조정할 수 있습니다.
일반적으로 대형 회사나 성장 기업에서 많이 볼 수 있으며, 이들 회사는 매 분기 재무제표를 발표하여 투자자에게 정보를 제공합니다.
국내주식중 가장 인기좋은 분기배당주를 딱 하나만 뽑으라고 한다면, 삼성전자라고 생각합니다. 분기 마다 배당금을 챙겨주는 기업이 많지만, 삼성전자 만큼 따박따박 꾸준히 챙겨주는 기업은 드물다고 생각합니다.
경제적 자유를 위한 배당주 매수 - 삼성전자우, 맥쿼리 인프라
경제적 자유를 향한 배당주 매수! 매달 미국/한국 주식 적립식으로 한 달 250만 원 치 주식 매수하기가 목표인데 생각보다 엄청 안되네요 ㅠㅠ 한 달에 150만 원 치 사기도 힘드네요.. 6월엔 100만
reviewfree.tistory.com
요약하자면, 월배당은 매월 일정한 주기로 배당금을 지급하는 형태로 예측 가능한 현금 흐름을 제공하며, 분기배당은 매 분기마다 배당금을 지급하는 형태로 회사의 재무 상황에 따라 조정됩니다. 투자자는 자신의 투자 목표와 리스크 허용도를 고려하여 적절한 배당 정책을 가진 회사를 선택할 수 있습니다.
'경제적 자유' 카테고리의 다른 글
주식용어중 ETF란 무엇인가? (0) | 2023.05.24 |
---|---|
은행 저축 vs 투자 :: 당신의 선택은? (0) | 2023.05.23 |
현대자동차와 현대자동차우 차이점 (0) | 2023.05.23 |
한국과 미국 주식시장 차이점 및 장단점 (0) | 2023.05.23 |
주식 포트폴리오 다변화의 중요성 (0) | 2023.05.23 |